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7일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금리인상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의 작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로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성장률을 6.4%로 수정 전망했다.
한경연은 미국의 경제상황을 고려했을 때 적정금리는 올해 1분기 금리 수준인 0.07% 대비 1.37∼1.54%포인트 올라야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다면 단기국채 금리가 적정 수준을 보일 때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우리나라가 미국과 같은 폭으로 금리를 높이면 평균 가계대출 금리는 1.54~1.73%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리 인상에 따른 연 가계대출 이자는 25조6000억∼28조8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당 이자부담은 220만~250만원 늘어나게 된다.
한경연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나라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어 대응 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과도한 민간부채를 고려했을 때 미국보다 선제적인 금리인상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재정 효율화 및 국가채무 건전성 확보에 노력하면서 동시에 기업경쟁력을 제고하고 고용 확대 등으로 민간의 금리인상 방어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