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검찰의 수사에 대한 민심이 ‘정치탄압’ 대 ‘적법수사’가 절반으로 팽팽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도 성향에서 긍·부정평가가 절반으로 갈라졌다. 검찰이 당 전체를 압박한 것으로 보여지자, 이 대표가 수사를 받아야 된다는 여론과 별개로 검찰의 수사 행태는 탄압으로 보는 분리된 여론이 나온다는 해석이다.
검찰은 이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하고 정진상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에 대한 강제 수사에도 나섰다.
이 대표도 본격적으로 방어전에 나섰다. 그는 지난 11일 대장동 개발 의혹과 관련해 천하동인 1호 소유자, 소위 ‘그분’이 정진상, 김용이라는 것은 검찰의 황당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만배, 유동규, 정영학의 녹취록을 공개하며 “녹취로만 봐도 유동규 것임이 명백한데 정진상, 김용 것이라고 조작 중”이라며 “허무맹랑한 검찰의 사건 조작”이라고 했다.
검찰의 이 대표를 향한 전방위적 수사에도 민심은 긍정, 부정 의견이 절반으로 나뉘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SBS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일에서 8일 이틀 간 전국 1006명을 대상으로 검찰이 이 대표 측근으로 수사를 뻗어나가고 있는 것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야당 탄압을 위한 정치 보복 수사라는 응답이 44.8%로 나타났다. 법과 원칙에 따른 수사라는 응답은 48.8%로 오차범위 내 차이다.
정치성향별로 이 대표 관련 수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극명하게 갈렸다. 보수 성향은 ‘적법 수사’라고 응답한 비율이 77.1%였고 진보 성향은 ‘정치 탄압’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0.6%였다. 중도 성향에서는 ‘탄압’ 50.5%, ‘적법 수사’ 44.8%로 조사됐다.
매일경제와 MBN이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검찰 수사에 긍정평가 비율이 51.9%, 부정평가 비율은 40.2%로 ‘적법 수사’ 여론이 SBS 여론조사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정치성향에서는 보수 성향이 긍정 평가를 76.1%, 진보 성향에서 부정 평가를 65.4%로 응답한 가운데 중도 성향에서는 ‘탄압’ 40.0%, ‘적법 수사’ 50.7%였다.
최근 여론조사 상 대체적으로 긍, 부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크게 넘지 않고 있고 중도층의 평가 또한 50%대를 머무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검찰이 수사를 몰아치는 가운데 민심이 크게 요동치지 않는 이유로 민주당과 이 대표를 분리시키지 못할 뿐더러 문재인 정부에 대한 수사까지 병행되어 ‘정치 탄압’으로 보는 인식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 검찰의 당 강제수사가 잇따라 이어지자 이 대표가 수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에는 긍정적이나 검찰의 행태는 탄압에 가깝다고 보는 여론이 높다는 관측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14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분리시키지 않고 당 전체에 대한 공격과 감사원의 전 정부 공격이 병행되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민주정부 총 공세로 인식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도 이날 “진영싸움으로 확산된 것”이라며 “이 대표를 무조건적으로 옹호하는 입장이 30% 고정적으로 있다면, 이 대표가 수사를 받아야 하지만 검찰이 당 전체를 압수수색 한 것은 정치탄압으로 보는 분리된 여론이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 대표가 혐의가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 검찰이 야당을 정치적으로 코너로 몰기 위해 오버하는 액션을 보인 것이 민심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