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연세대 중앙도서관 앞에는 ‘박원순 서울특별시장(葬)에 대한 서울시의 해명을 요구한다. 정치권의 조직적인 성범죄 2차 가해를 규탄한다’는 대자보가 게재됐다.
대자보에는 “성범죄 의혹과 얽혀있는 그의 죽음은 결코 명예로운 죽음이라고 할 수 없다”며 “박원순 서울시장의 빈소에는 조문 행렬이 이어졌다. 그들은 고인의 생전 업적을 칭송했다. 빈소에 놓인 그들의 조화는 성범죄 고소인에게 침묵하라는 압박이자 2차 가해”라는 비판이 담겼다. 이어 “성범죄는 죽음으로 무마할 수 없다”며 “서울시는 지금도 벌어지고 있을지 모르는 시청 내부의 성범죄에 대해 철저히 밝혀야 한다. 정치권은 더 이상 성범죄를 덮고 무마하며 쉬쉬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의 의견은 갈렸다. 연세대학교 4학년 박모씨는 “사람이 죽었다고 해서 성추행 의혹이 없어질 수 없다는 의견에 동의한다”며 “고 박 시장이 인권변호사로서 많은 일을 한 것은 맞지만 의혹은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온 유학생 A씨(25·여)는 “아직까지는 성범죄 행위가 진짜로 있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며 “증거가 있다면 대중에게 공개돼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서울시는 고 박 시장에 대한 장례를 ‘서울특별시장(葬)’으로 5일간 진행했다. 고 박 시장의 장례에는 정세균 국무총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의원, 이해찬 민주당 대표, 이재명 경기지사,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여권 인사들의 조문이 이어졌다. 문재인 대통령도 고 박 시장의 빈소에 조화를 보냈다.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는 고 박 시장의 영결식이 끝난 지난 13일 오후 2시 서울 은평구 한국여성의전화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 박 시장의 위력에 의한 비서 성추행 사건은 4년 동안 지속됐다”고 밝혔다. 피해자는 입장문을 통해 “처음 그때 소리를 질러야 했고 울부짖어야 했고 신고해야 마땅했다. 그랬다면 자책하지 않을 수 있을까 수없이 후회했다”며 “거대한 권력 앞에서 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공정하고 평등한 법의 보호를 받고 싶었다. 안전한 법정에서 그분을 향해 이러지 말라고 소리 지르고 싶었다”고 토로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