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전남 광양과 여수를 찾아 “호남이 대한민국 성장 대전환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수도권 중심의 성장 모델이 한계에 봉착한 만큼, 지방을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삼고 특히 서남해안의 재생에너지를 핵심 자산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후보는 15일 전남 광양 유세에서 “중국과의 경쟁 속에 똑같은 방식으로는 이길 수 없다”며 “광양이 수소환원제철 등 새로운 산업 전환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확실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는 인공지능이 단순 계산, 패턴 노동까지 대체하게 된다”며 “제조업도 AI 기반으로 재편돼야 한다. 정부가 산업전환과 인력 재교육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화석연료 기반의 제품은 곧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며,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이 새로운 산업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광양과 같은 서남해안 지역이 바로 그 핵심이라는 것이다.
이 후보는 전기요금 거리비례제 도입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지금은 영광에서 생산한 전기를 서울까지 보내면서도 요금이 똑같다. 송전비용을 감안하면 생산지 요금이 더 낮아야 맞다”며 “이제는 생산지에서 저렴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요금 구조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방에 기업을 유치하는 강력한 유인책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유세는 단순한 지역순회가 아니라 이 후보가 구상하는 호남의 성장 방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자리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탄소 중심 산업 구조를 벗어나 AI·재생에너지·균형발전으로 이어지는 미래 산업의 축을 호남에서 시작하겠다는 전략적 메시지를 내놓은 것이다.
전남 여수 유세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사례로 성장 비전을 뒷받침했다. 이 후보는 “신안군은 주민에게 태양광 지분 30%를 주면서 가구당 250만 원, 앞으로는 500만 원까지 배당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 덕에 유일하게 인구가 늘고 있는 군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수 역시 해상풍력과 태양광, 바람 등 자연 자원이 풍부하다”며 “이제는 ‘버려진 땅’이 아니라 성장의 에너지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정부가 7년간 태양광 발전 허가를 막고 있다”며 “송전망이 없다는 이유로 에너지 생산을 가로막는 건 밭에서 농산물은 키워놓고 길이 없어 출하도 못 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 예산과 민간투자를 통해 촘촘한 송·배전망을 깔고, 누구나 지붕·마당·개천 위에서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이 후보는 “호남은 민주당의 뿌리이자 근본”이라며 “이제는 서울 근처만 잘사는 나라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자.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