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가 최근 SK텔레콤 가입자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소개하는 마케팅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25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가 경쟁사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지적하며 집단소송을 소개하는 내용의 광고 문자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 대리점이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문자에는 ‘SK 개인정보 유출, 단순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시작으로 단순한 전화번호나 주소 유출이 아닌 휴대폰 고유번호인 ‘IMEI(단말기식별번호)’가 함께 유출된 것이라고 안내한다.
IMEI는 쉽게 바꿀 수 없고, 단말기 인증금융·보안과 연결된 ‘디지털 도어락 비밀번호’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치 누군가 당신 집 도어락 번호를 알아낸 것처럼, 단말기의 '디지털 열쇠'가 외부에 노출된 위험한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해당 문자는 단순히 경쟁사를 지적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법무법인에서 담당하는 집단소송을 매장에서 비용없이 대행해 준다는 내용까지 담고 있다. 심지어 필요 서류로 신분증과 SK텔레콤 이용계약증명서가 있어야 한다는 것까지 안내했다. 승소할 경우 1인당 최대 30만원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끝으로 문자는 ‘피해를 막을 수는 없었지만, 보상을 받을 수는 있습니다. 고객님의 권리를 꼭 지켜드리겠습니다’는 문구와 ARS 고객센터 번호 안내로 마무리 된다.
아울러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고 소송과 관련해 만들어진 오픈채팅방에서는 LG유플러스로 가입 통신사를 변경하면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공지하고 있었다. KT보다 LG유플러스가 혜택이 더 많다면서 특판 직영대리점 중 제일 혜택이 많은 곳을 안내하겠다고 했다.
LG유플러스 측은 “본사는 SK텔레콤 상황을 영업에 활용하지 않았다”며 “해당 문자는 한 대리점에서 발송된 것을 확인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확인 즉시 중단 조치했으며 추가 조치도 검토 중”이라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3사에 불안 마케팅 없도록 자정 노력을 강조했으나 시장에서는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지난 21일 “SK텔레콤 침해 사고에 따른 불안감을 악용한 스팸 발송과 불안 마케팅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용자 보호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2일 SK텔레콤 가입자들의 유심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공지된 이후 이날까지 가입자 약 40만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