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따라 경북 안동시가 발행한 안동사랑상품권이 지급 첫 주 만에 대부분 조기 소진됐다. 특히 지류형 상품권이 빠르게 동나면서 제도적 허점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25일 안동시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받은 300억원 규모의 소비쿠폰 지원금 중, 지류형 안동사랑상품권 82억원어치는 길안면과 강남동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소진됐다. 이에 시는 24~25일 이틀간 카카오톡, SNS 등을 통해 지역민에게 상품권 조기 소진 현황을 안내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모바일이나 카드 형태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의 수요가 지류형에 집중되면서 품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신용·체크카드 등 다른 지급 수단보다 사용 가능 기한이 긴 점도 지류형 쏠림 현상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신용·체크카드 등 다른 지급 수단 소비 쿠폰 사용 기한은 오는 11월 30일까지이지만, 지류형의 경우 지급 받은 날부터 5년 안에만 사용하면 된다. 짧은 기간 내수 진작을 도모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에 일부 제동이 걸릴 수 있는 이유다.
안동시는 오는 8월 8일 오후 2시부터 80억원 규모의 지류형 상품권을 재지급할 예정이지만, 발행 주체인 한국조폐공사의 공급 일정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도 있어 혼란이 우려된다.
일각에서는 지류형 상품권이 현금으로 전환되기 쉬운 구조라는 점에서 부정사용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한 주민은 “가맹 식당에서 일정 수수료를 주고 현금화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다”며 “현장 단속과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가맹점은 은행을 통해 상품권을 현금으로 환전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해 개인과의 거래에서 일정 금액을 제하고 현금으로 교환하는 이른바 ‘상품권 깡’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안동시는 향후 추가 지급 시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과 함께, 지류형 상품권 부정 유통 방지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가맹점과 개인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일은 '깜깜이'일 수 밖에 없다”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이 상품권 깡을 할리가 없지만,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해 제도적 보완점 마련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