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18일 광주 북구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적용 시점을 고민할 때가 아니라 대통령이 권한을 남용해 윤석열 정권처럼 친위 군사쿠데타를 하거나 국가권력 기구를 남용해 인권을 짓밟는 등의 행위를 못 하게 하는 통제정치를 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당연히 개헌을 하려면 200명 이상의 국회의원 동의가 필요하고 또 구여권의 협조가 필요하다. 더 크게 보면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너무 무리하게 전면적으로 개헌하려다 아무것도 못하는 것보다는 합의되는 것부터 하자는 게 제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국민들이 심층 논의를 통해서 결정할 일이고 결국은 국회라는 국민 대의기관이 나서서 책임져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지금 헌법 개정 이야기를 꺼낸 이유’에 대해 “87년 체제가 효용을 다했다”며 “제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도 많고 역사적 당위성도 있었지만, 객관적 상황 때문에 정치적 이해관계를 쉽게 조정하지 못해서 지금까지 해야 할 일인데 하지 못하고 있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도 가능하면 개헌을 합의 가능한 범위에서는, 또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선 대선과 동시에 하고 싶은 생각이었다”라며 “다음 지방선거에 맞춰서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것도 역시 국민의 판단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서 “진짜 대한민국의 새로운 헌법을 준비하자”며 대통령 4년 연임제, 책임총리제,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 등 권력구조 개편을 중심으로 한 개헌을 공식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