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산업부는 우리 기업과 산업이 글로벌 경쟁을 헤쳐 나가 도약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해 뒷받침해야 할 책무를 갖고 있다.”
김정관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취임사를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의 확산으로 그동안 수출의 버팀목이 된 자유무역 질서와 국제규범이 더 이상 정상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앞으로 산업부가 집중해야 할 4대 정책 방향으로 △수출·투자 확대 △‘진짜 산업정책’ 추진 △에너지 안보 확보 △지역경제 생태계 복원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 모두가 수출과 투자 확대를 위한 ‘선봉장’이 돼야 한다”며 “미국의 관세조치, FTA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국익 극대화를 위한 협상에 선봉장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진짜 성장’을 위한 ‘진짜 산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지속 성장 모멘텀 △산업 균형발전 △전략적 국익 극대화라는 3대 방향을 제시하고, △속도와 소통 △선택과 집중 △실천과 체감의 3대 원칙을 구현하는 정책을 추진하자고 말했다.
AI 혁명과 관련해서는 “정부 R&D, 사업화 지원 체계는 실질적인 성과가 창출되도록 재설계하고 AI반도체, 휴머노이드 등 차세대 기술은 실패의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도전하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며 “반도체·미래차 등 우리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산업은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만 한다”고 했다.
또 김 장관은 에너지 정책에 대해 “과거 화석연료 시대에는 석유, 가스 등 에너지원의 다변화가 중요했지만, 재생에너지와 전기의 시대에는 에너지 설비와 전력 공급 안정성이 에너지 안보의 핵심”이라며 “원전은 에너지 가격 안정,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차질 없이 추진하자”고 강조했다.
지역경제 생태계 복원을 위한 ‘특단의 대책’도 주문했다. 김 장관은 “그동안 모든 정부에서 지역 살리기를 추진했지만, 여전히 지역은 소외되고 낙후돼 있다”며 “5극 3특 중심으로 초광역권 산업을 육성하고 RE100 산단 조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기업의 지역투자 성과를 창출하자”고 말했다.
김 장관은 조직 혁신에 대해서도 쇄신 메시지를 내놨다. 그는 “보고를 위한 보고, 보고서 치장하기, 윗사람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일, 오탈자 하나에 다시 프린트 하는 일, 이러한 것들은 우리 국민과 산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가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작은 것이라도 변화와 진보가 있는 일, 산업 현장에서 체감과 성과가 나타나는 일,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 속도를 붙이는 일, 이와 같은 ‘진짜 일’을 하도록 하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