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을 유지한 배경에는 여론과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자 모두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에 휩싸였지만, 대통령실은 정책 전문성, 정치적 부담, 당내 역학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반된 결정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강선우 후보자 임명에 가장 마지막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지난 주말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를 둘러싼 여론과 사실관계를 광범위하게 검토했으며, 이 과정에서 대통령의 고민이 상당히 깊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후보자는 논문 표절, 자녀 조기 유학 등 여러 의혹에 대해 해명을 내놓았으나 국민 여론의 부정적인 흐름을 넘어서지 못했다. 김상욱·강득구 민주당 의원 등은 “장관으로서 자격이 부족하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우려가 적지 않았다. 우 수석은 “사실은 자격이 된다고 봤고, 해명도 상당히 됐다고 본다. 하지만 결국은 여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며 “지명 철회라는 형식도 당사자와 상의 끝에 택한 것”이라고 했다.
반면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됐으나 사실관계가 충분히 확인되지 않았고, 여가부 정책 관련 질의응답에서 큰 실수를 보이지 않았다. 여당 지도부 역시 강 후보자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하지 않은 가운데 여권 내에서는 현역 의원이 낙마할 경우 정치적 타격이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실이 두 후보자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정책 전문성’과 ‘정치적 리스크’를 동시에 고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전 후보자가 유보통합이나 나이스(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등 초·중등 교육 정책에 문외한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 것과 달리, 강 후보자는 정책 질의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대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진숙 후보자를 자진사퇴 형식이 아니라 지명 철회해 야당의 얘기도 일부 수용했다”며 “강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당내 분위기는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좀 더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곧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절차를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자리는 새 인선을 통해 다시 검증 절차를 밟게 된다. 여권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대통령이 여론과 당내 역학을 모두 고려해 전략적으로 선택한 사례”라며 “향후 인사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