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미시가 2024년 농식품 수출액 9400만달러를 기록하며 경북도 내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전년(6390만달러) 대비 47% 증가한 성과로, 가공식품이 전체 수출의 73%를 차지해 구미가 K-Food 산업의 신흥 거점임을 입증했다.
주요 수출품은 라면(5,174만달러), 소스류(883만달러), 냉동김밥(808만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구미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행정 조직 개편과 농업예산 대폭 확대(9.98%, 1865억원)를 통해 정책 개발과 현장 행정을 강화하며 수출 성장의 기틀을 닦았다.
구미시는 만감류와 하미과멜론 같은 아열대 고소득 작물의 재배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농가 소득 증대에 나섰다. 특히 올해 아열대농업 활성화에 9억6000만원, 하미과멜론 본격 생산에 5억원을 투입하는 등 농업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밀·콩 이모작을 기반으로 조성한 ‘밀 밸리 특구’에서 벼 대비 1.9배 높은 농가 수익을 실현했으며, 경북 최초의 밀 제분공장 설립과 지역 브랜드 ‘구미밀가리’의 출시는 155톤의 누적 판매량으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생산-가공-유통’ 패키지 시스템을 제과·제빵업체와 협력해 구축함으로써 지역 상생 모델도 마련했다.
가공식품 산업 육성을 위한 농업대학에서는 농식품 가공 과정을 개설하고 농산물가공기술센터 개소 등으로 농가의 가공 역량을 높이고 창업 기반을 마련했다.
2023년 개장한 로컬푸드직매장은 2년 2개월 만에 100억원 매출을 돌파하며 농가 소득과 소비자 가격 안정에 기여했으며, 서울에서 열린 ‘구미 로컬푸드페스타’는 첫해 2억원의 실적을 올려 수도권 판로 확대의 기반도 마련했다.
2024년에는 63개 식품제조·가공업체가 ‘G-Food’ 협의체를 구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협의체 기업들은 사이판, 괌 등에 10억원 수출을 이루는 등 실질적 성과를 내고 있다.
구미시는 수출 안전성 강화, 무역 사절단 파견, 브랜드 경쟁력 지원 등 다양한 정책도 병행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미국, 캐나다, 괌 등으로 무역사절단을 추가 파견해 해외시장 개척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시가 보유한 농업과 전자산업의 강점을 활용해 원물 생산부터 가공까지 농식품 분야의 부가기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2028년 개소 예정인 한국식품연구원 경북본부는 지역 농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미=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