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누가 ‘국장(국내 증시) 탈출은 지능순’이라고 했는데, 빨리 ‘국장 복귀는 지능순’이라는 말이 생겨날 수 있도록 만들어야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자본시장 정상화, 새로운 도약의 시작’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오찬 간담회에서 “국민들의 유효한 투자 수단으로 주식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제가 (대선) 후보 때 정권 교체만 해도 (코스피) 주가지수가 3000은 넘길 것이라고 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돼 다행스럽다”며 “여러분이 그 자리에 계속 계신 것도 그와 관계가 있지 않겠느냐. 원래는 승진을 해야 한다”고 말해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 “실제 국정과 경제의 지휘봉을 쥐고 일을 하다 보니 증권시장을 포함한 자본시장 정상화가 점점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경제는 합리성이 생명이다.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불공정 거래, 불투명한 경영, 비합리적 의사결정은 없어야 한다”며 “주가 조작, 불공정 공시 등을 없애야겠다고 생각했고 꽤 진척이 돼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상법 개정을 통해 의사결정의 합리성이 개선되고 있다. 몇 가지 조치만 추가하면 구조적 불합리 개선은 마무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5일 민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은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배제 금지를 골자로 한다. 집중투표제는 소액주주에게 유리한 제도로 평가된다. 또 대규모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분리선임 의무를 최소 1명에서 2명으로 확대했다.
또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돈은 많이 생겼지만 주로 부동산 투자·투기에 집중돼 국가 경제를 불안정하게 한다”며 “금융이 생산적 영역으로 물꼬를 트게 바꿔야 한다. 당장 성과는 어렵더라도 방향은 명확하다. 자본시장 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두에게 희망을 주는 먹고 살 만한 세상,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세상을 함께 만들자”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영권 한국애널리스트회 회장,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상무,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상무, 조수홍 NH투자증권 상무, 김동원 KB증권 상무, 윤석모 삼성증권 상무, 이종형 키움증권 이사, 윤창용 신한투자증권 상무, 김영일 대신증권 상무, 윤여철 유안타증권 상무,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상무, 노근창 현대차증권 전무, 이승훈 IBK투자증권 상무, 최광혁 LS증권 이사, 최도연 SK증권 상무, 김혜은 모간스탠리증권 상무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