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20~29세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는 증가했지만, 고용의 질은 나빠지고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체감 수준은 여전히 낮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날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서 청년층 실질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이 1.9%로 전 세대 가운데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이어서는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다.
실질소득 증가세는 시간이 갈수록 둔화하는 모습이다. 2014~2019년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으나, 이후 5년간은 연 1.1% 증가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30대(2.8%)나 40대(1.4%)보다 낮은 수치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최근 10년 사이 청년층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지고, 고용률도 57.4%에서 61.0%로 오르며, 고용의 양적 지표는 개선됐다. 그러나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늘면서 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다.
물가 부담도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특히 청년층 소비에서 비중이 큰 외식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연 3.8%에서 4.0%로 올랐지만, 체감물가에 상쇄되면서 결과적으로 실질소득 증가세는 둔화됐다.
한경협은 “청년층 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등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외식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고용 측면에서 고용 훈련 강화, 기업의 양질 일자리 확대, 정규직 고용 기회 확충 등을 통해 청년층 근로소득 기반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게 한경협의 설명이다.
또한 한경협은 “물가 측면에서는 할당관세 조정, 농산물 유통 구조 개선 등으로 외식업체의 원가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생활비 압박을 줄이고 청년층 체감 소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