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실질소득 증가율 10년간 ‘나홀로 1%대’…세대 중 최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10년간 ‘나홀로 1%대’…세대 중 최저

기사승인 2025-09-29 08:02:06
지난달 20일 서울 광희동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금융권 채용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최은희 기자

만 20~29세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는 증가했지만, 고용의 질은 나빠지고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체감 수준은 여전히 낮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날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서 청년층 실질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이 1.9%로 전 세대 가운데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이어서는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다.

실질소득 증가세는 시간이 갈수록 둔화하는 모습이다. 2014~2019년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으나, 이후 5년간은 연 1.1% 증가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30대(2.8%)나 40대(1.4%)보다 낮은 수치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최근 10년 사이 청년층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지고, 고용률도 57.4%에서 61.0%로 오르며, 고용의 양적 지표는 개선됐다. 그러나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늘면서 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다.

물가 부담도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특히 청년층 소비에서 비중이 큰 외식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연 3.8%에서 4.0%로 올랐지만, 체감물가에 상쇄되면서 결과적으로 실질소득 증가세는 둔화됐다.

한경협은 “청년층 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등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외식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고용 측면에서 고용 훈련 강화, 기업의 양질 일자리 확대, 정규직 고용 기회 확충 등을 통해 청년층 근로소득 기반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게 한경협의 설명이다. 

또한 한경협은 “물가 측면에서는 할당관세 조정, 농산물 유통 구조 개선 등으로 외식업체의 원가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생활비 압박을 줄이고 청년층 체감 소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