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병목 현상을 풀어낼 세계의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 회장은 AI를 “세계 질서를 새로 짜는 변곡점”으로 규정하며, 기술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한국형 AI 발전 모델의 두 축으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을 만큼 모든 산업이 AI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AI는 기업 경쟁을 넘어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 자산이 됐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부대행사로 SK그룹이 주관했다.
최 회장은 “AI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른 나머지 반도체 칩부터 에너지까지 모든 영역에서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한국은 새로운 기술에 빠르게 적응해 온 나라로,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는 시험무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터넷과 모바일 혁신에서 이미 그 속도를 증명했듯, AI도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하고 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AI가 ‘추론(Reasoning)’ 단계를 넘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며 “효율적이고 저비용의 AI 모델과 데이터 통합(애그리게이션) 기술이 병목을 뚫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글로벌 경쟁 구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미국은 AI 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목표 아래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술을 세계로 확산시키고 있으며, 중국은 5개년 계획에 AI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기술 자립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AI 경쟁은 규모와 속도의 전쟁"이라며 "투자 속도와 범위에서 뒤처지면 국가 간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의 해법으로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제시했다. “대한민국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움직이며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독자 모델 개발 등 기술 자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협력도 함께 가야 한다. 우리만의 폐쇄적 자립이 아니라 신뢰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추진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은 한국 AI 생태계 확장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이 5년간 5000억달러(약 700조원)를 투자해 미국 전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최근 SK와 삼성도 각각 포항과 전남 지역에 ‘한국판 스타게이트’ 건립을 추진하며 글로벌 협력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SK그룹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울산에 100메가와트(㎿)급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를 건립 중이며, 오픈AI와는 서남권 지역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포럼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AWS 최고경영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 국내외 AI 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글로벌 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한편, SK그룹은 같은 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가해 반도체·냉각·운영·보안 등 AI 데이터센터 핵심 기술을 전시했다. SK텔레콤·SK하이닉스·SKC·SK엔무브 등 주요 관계사가 참여해 그룹 전체의 AI 인프라 역량을 선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