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은 9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이) 전례없이 사전통지 사실을 외부에 공개했고, 이로 인해 시장에 충격과 혼란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금감원이 사전통지 사실을 외부에 공개해도 되는 건지 검토해 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감원은 지난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감리결과에 따라 조치사전통지서를 회사 및 감사인에게 통보한 사실을 공개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의적 분식회계’가 인정된다는 감리결과를 언론에 흘렸다.
금감원의 발표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는 4월30일 종가기준 48만8000원에서 5월4일 35만9500원까지 떨어지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최 위원장은 이에 대해 “사전통지를 언제할 지는 금감원이 판단할 일이다. 다만 이번 건의 경우 전례 없이 사전통지 사실이 외부에 공개됐고 시장에 충격과 혼란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금감원은 사전통지 사실을 발표 하고, 그 과정에서 언론에 답을 많이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감원은 대우조선 등 사건에 대해서는 시장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공개를 하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공개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할 것인지의 문제가 남는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 사건이 마무리되면 금감원의 사전통지 공개 문제에 대해 들여다 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김동연 경제부총리 역시 같은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감리위원회나 증권선물위원회 결정까지 난 뒤에 (공개)됐으면 좋았을 텐데 중간에 알려져 논란이 된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한편 최 위원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특혜상장 의혹에 대해 “유망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적자 기업도 상장시키는 것은 우리 뿐 아니라 미국 나스닥이나 홍콩에서도 다 하고 있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나스닥 상장 요건 갖추고 있던 걸 우리가 잡은 것으로 상장 규정 고친 건 문제 삼을 여지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