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을 태운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1호기가 이날 오후 5시30분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1호기에는 아프리카 현지 병원에 입원해있던 16명 등 확진자 160명이 탑승했다. 경증 및 무증상 확진자 87명과 미확진자 50명, 판정불가 4명 등 141명은 수송기 2호기 편으로 공항에 도착했다. 총 귀국 인원은 301명이다.
청해부대 34진은 문무대왕함(4400t급)에 탑승, 아덴만 해역에서 작전을 진행 중이었다. 오는 10월 귀국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난 15일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으로 조기 귀국하게 됐다.
전체 부대원 중 현지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통해 247명(82.1%)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부대원들은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않은 상태였다. 밀폐된 함정에서 집단생활을 할 수밖에 없던 점도 문제로 꼽힌다. 이들은 지난 2월8일 출항, 3월6일 작전구역에 도착했다. 그동안 총 9회 기항지 항구에 입항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고개를 숙였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이날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을 보다 세심하게 챙기지 못해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데 대해 국방부 장관으로서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청해부대 장병 및 가족 여러분들과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국가 안보를 위해 먼 이국에 나가 수고하고 계신 우리 장병들이 다수 감염된 결과에 대해 장병들과 가족분들, 그리고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가족분들과 연락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세심히 신경 쓰겠다”고 이야기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해부대 34진 부대원 아버지의 제보를 전했다. 하 의원에 따르면 청해부대원의 부친 A씨는 지난 1일 아들과 통화하면서 코로나19 의심 증상은 인지했다. A씨의 아들은 “배에 자꾸 독감환자가 생긴다. 드러누워 꼼짝도 못 하는 병사가 있고, 열이 30도까지 올라간다”고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부에서는 “코로나19는 사람을 통해서 옮는다. 독감 기운이 있는 병사들은 외부인을 만난 적이 없다”며 묵살했다는 주장이다.
하 의원 등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청해부대 백신 미접종과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를 요구한 상태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