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싱크홀 사고 예방…지하시설물 전면 점검

춘천시, 싱크홀 사고 예방…지하시설물 전면 점검

최근 5년간 소규모 싱크홀 13건 발생

기사승인 2025-04-29 15:13:20
강원 춘천 도심지 하수관 정비대상. (춘천시 제공)

강원 춘천시가 싱크홀(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관내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전면 점검에 나선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29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내 지하시설물 및 지하굴착공사 현장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 계획을 수립‧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관내 상수도관 278㎞(15.8%) 구간과 하수도관 535㎞(40.6%)가 30년 이상 노후관으로 집계돼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상수도‧하수도 노후관로 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올해까지 552억원을 들여 상수도관 32.5㎞를 정비한다.

하수도관은 2026년부터 2029년까지 534억원을 투입해 도심 노후관로를 집중 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5월부터 굴착 깊이 10m 이상 대형공사장 12곳, 도심 상수도 11개 구간, 하수도 GPR(지표투과 레이더) 탐사 20개 구간, 지하도상가 및 지하차도 등 시민 이용시설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안전보안관과 ‘운수 파수꾼’으로 위촉된 버스·택시 종사자를 통해 상시 예찰을 강화하고 시민들이 쉽게 싱크홀을 신고(시 홈페이지·민원콜센터·봄내소식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신고 접수 시 재난안전·도로·상하수도 등 관련 부서가 협업해 1시간 이내 현장 확인‧응급조치와 빠른 복구를 시행한다.   

이외에도 2026년 7월 ‘AI 도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연구’ 완료 시 시스템을 전면 적용하고 중장기적으로 GPR 장비 도입을 검토할 방침이다.

육 시장은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예방 중심의 선제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생활 속에서 도로 균열이나 지반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최근 5년간 시 관내에서는 총 13건의 소규모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주 원인은 굴착공사 중 흙막이·차수 부실, 노후 상·하수도관 균열 및 누수 등으로 확인됐다.

육동한 춘천시장이 29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내 지하시설물 및 지하굴착공사 현장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춘천시 제공)
하중천 기자
ha33@kukinews.com
하중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