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올해 처음으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방위산업이 대한민국 안보를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구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 참석해 “정부 차원에서 안보 협력을 잘 이뤄내 산업 종사자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갖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산업으로 지금까지는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면 이제 역량을 인정받아 전 세계로 무기 체계를 수출하게 됐다”며 “앞으로 정부가 방위산업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투자하고 지원해 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첫 번째로는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서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데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위산업이 소수의 대기업 중심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많은 사람과 기업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의 수출 영역에서는 정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며 “안보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잘 이뤄내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분과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토론회 후 브리핑에서 “AI 스타트업 대표들은 스타트업이 대기업과의 직접 경쟁을 하는 것보다 컨소시엄 형태의 참여 구조를 제안했다”면서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중소·벤처기업에도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 방산기관 대표 100여명과 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장,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 측에서는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방부 등 유관 부처 차관들이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