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불, 산사태 등 산림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국가안보 수준으로 보호하겠습니다.”
신임 김인호 산림청장이 산불과 산사태 대응력 강화를 중점 추진정책 전면에 내세웠다.
김 청장은 14일 취임사에서 “지난 3월 발생한 초대형산불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해 우리에게 큰 숙제를 안겼다”며 “이 같은 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산불 대응체계를 혁신하고 국가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중대형 산불진화헬기, 다목적 산불진화차 등 고성능 진화자원과 공중진화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같은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진화인력 처우 개선과 동시에 전문성을 높이겠다”며 “부처 간 협력으로 군,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헬기 등 자원을 산불진화에 조속 투입하고,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사태와 소나무재선충병 등 산림재난 대비태세 강화도 언급했다.
이에 대해 “극한호우 빈발에 따라 증가하는 산사태에 대비해 사방사업을 산사태 취약지역에 집중하고, 선제적 주민대피 체계를 구축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과학적 예찰방제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확산을 저지해 국민이 사랑하는 소나무를 지키고 수종전환 방제도 적극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청장은 온실가스 감축과 생물다양성 보존 정책도 제시했다.
김 청장은 “산림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의 11%를 책임지는 핵심 수단”이라며 “탄소흡수력이 뛰어난 수종을 식재하고, 숲가꾸기 등 산림순환경영을 활성화하며 도시숲, 유휴토지숲 등 새로운 탄소흡수원 조성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산림경영과 임업인에 대한 비전도 밝혔다.
김 청장은 “ 산림경영 활성화와 산주, 임업인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림공익가치보전지불제와 산지흥행제도를 시행할 것”이라며 “임업직불금 단가 인상과 임업세제 개편으로 준보전산지도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산림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해 선택형 임업직불제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산림복지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김 청장은 “산촌뿐 아니라 도시 생활권에서도 산림휴양과 치유 등 복지서비스를 누리도록 접근성을 높이고, 서비스 질도 국민 수요와 눈높이에 맞춰가겠다”며 “도시숲을 확충하고, 도심권 치유의 숲 조성 등 국민수요 맞춤형 인프라와 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산림분야 인도적 협력을 재개할 것임을 밝혔다.
김 청장은 “남북관계 변화가 가시화되는 현시점에서 산림은 남북신뢰 회복의 중추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북한 산림 황폐화를 방지하는 REDD+ 사업으로 남북 모두 활용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확보하는 호혜적 협력, 산림재난 대응, 산림복구, 식량난 해결을 위한 임농복합림 조성 등 공동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제시했다.
이밖에 태안-울진 통서트레일 완성, 국제 임업기술 교류, 신남방·신북방 산림협력 등 정책을 설명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김 청장은 “사람을 살리는 숲, 숲을 살리는 국민을 위해 각고면려(刻苦勉勵,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며 노력함)의 자세로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