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계원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4일 현 정부의 ‘금융홀대론’에 대해 부인했다. 최근 금융권에서 제기되고 있는 정부의 정책·인사 등에서 금융부문이 차순위로 밀리고 있다는 우려를 일축한 것.
최 위원장은 이날 광화문정부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과 실물경제는 상호보완 적인 관계로, 현 정부가 금융을 홀대하고 있다는 것은 오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금융산업을 바라보는 2가지 시각이 존재한다. 금융의 역할이 제조업 등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데 있다는 시각과 금융이 높은 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도록 독자적인 산업으로 육성되야 한다는 시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시각은 상반되고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고 보완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이 다른 산업이나 시장, 고객과 별도로 혼자 성장할 수 있는 산업은 아니다. 실물경제 발전이 기반이 되야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실물경제를 지원하는데 중점을 둔다고 해서 금융을 홀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이 다른 산업을 지원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파이가 커지고, 전체 파이가 커져 금융의 몫 또한 커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금융과 실물경제가 동반성장하기 위해 금융사를 옥죄고 있는 규제를 과감히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최근 금융감독원장에 비금융 출신 인사가 내정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금융과 무관한 분이 온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며 “지금 거론되는 분도 금융에 문회한인 인물로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이어 “금융권 인사와 금융홀대론을 연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