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40개 의과대학의 유급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교육부가 학칙에 따른 원칙을 강조하며 학사 유연화 등 별도 조치는 없다고 못 박았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학칙이 애매한 의대 2~3곳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의대 본과 4학년들은 오는 30일이 유급 조치 데드라인”이라며 “행정적 유급 처리를 5월 초에 할지, 학기 말에 할지는 각 대학이 결정하겠지만, 30일에 유급이 결정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교육계에 따르면 오는 30일까지 총 32개 의대의 본과 4학년 유급시한이 만료된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울산대 등 13개 의대 유급시한은 이미 지났고 26일 가톨릭대, 28일 경북대·계명대·영남대, 29일 충북대, 30일 동국대 유급 예정일이 도래한다. 본과 4학년은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국가시험(국시)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하다. 본과 4학년보다 개강 시기가 늦었던 예과 1~2학년과 본과 1~3학년 역시 상당수 의대에서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 유급시한이 도래한다.
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했지만, 수업 참여율은 저조하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의대생의 수업 참여율은 25.9%에 불과하다. 교육부는 끝까지 의대생 설득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 지원관은 “대다수의 의대생은 수업에 돌아오고 싶어 한다”면서 의대 유급 시한일인 30일 이전에 의대 학생회 대표 조직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와 대화를 원한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교육부에 “검토하겠다”라고 답한 상태다. 지난주부터 각 대학이 진행 중인 수업 복귀 의향 설문과 관련해선 “교육부가 현황을 파악하고 있진 않다”면서도 “학생 상당수가 솔직한 답변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또 의대협과 학사 유연화 조치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는 않다고 짚었다. 김 지원관은 “교육부와 의대 학장들은 학칙대로 대응하며, 학사 유연화나 유급 구제 등 별도 조치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면서 “의대협과의 간담회에서도 학사 유연화 조치가 논의될 가능성 없다”라고 했다.
교육부는 일각에서 ‘올해도 의대생 구제책을 논의 중’이라는 루머가 퍼지자 각 대학에 “학생들과 공식적·비공식적으로 학사 유연화 관련 사항을 의논한 바가 없다”고 공문을 보냈다. 다만 의대협과 만남이 성사되면 24·25학번 분리 교육 방안과 의대 교육 정상화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김 지원관은 “현재 복귀 인원으로는 수업 분리가 안 된다는 게 대학들의 입장”이라며 “전북대와 동아대는 24·25학번이 돌아오지 않으면 내년에 26학번을 우선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학칙을 개정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전국 의대 학장들로 구성된 한국의대·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에 각 의대 교육 과정을 구성할 40개 팀이 이미 꾸려져 있다”면서 “의대생이 언제 얼마나 돌아올지 확정되지 않아 일괄적으로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발표하기 어려울 뿐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