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만명 찾는 '강릉단오제'…강릉시, 전체가 손님맞이에 분주

70만명 찾는 '강릉단오제'…강릉시, 전체가 손님맞이에 분주

"임시주차장부터 콘텐츠 확대까지"…체류형 관광 전략에 행정도 속도

기사승인 2025-05-01 18:59:34
2024 강릉단오제 관노가면극 모습. (사진=강릉시)
강원 강릉시가 5월 말 열리는 강릉단오제를 앞두고 관광객 수용을 위한 교통·숙박 인프라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0만명 이상이 다녀간 지역 최대 전통문화축제를 앞두고 행정지원 체계를 조기에 가동하며 도시 전반의 수용 여건을 점검 중이다.

30일 강릉단오제위원회와 강릉시청에 따르면 올해 강릉단오제는 오는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남대천 일원에서 8일간 개최된다.

시는 본행사를 한 달 앞둔 이달 말부터문화예술과, 관광과, 교통과, 보건소 등 유관 부서가 참여하는 '단오제 행정지원단'을 본격 운영하고 있다.

관람객 동선을 고려한 임시 주차장 확보, 셔틀버스 노선 조정, 위생·방역 대책 마련, 응급의료 체계 점검 등이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올해 단오제는 콘텐츠 구성에도 변화가 예고됐다. 시와 단오제위원회는 단오굿·단오난장 등 전통 의례 중심의 핵심 콘텐츠는 유지하면서 청소년 참여 확대, 야간 콘서트, 체험형 마켓 연계행사 등 체류형 프로그램을 대폭 늘린다.

시는 관광객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남대천축제장 외에도 월화거리, 중앙시장, 경포권역 등과의 연계 프로그램도 부분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숙박환경 개선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축제 기간 강릉을 찾는 체류형 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는 공공캠핑장 확대 운영과 민박 등록시설 사전 점검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관광과는 상반기 중 숙박업소 대상 요금 자율정비 협약도 검토 중이다.

관광객 입장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안내, 위생 등 수용 여건은 축제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소다. 임시주차장 위치 안내나 셔틀버스 노선 구성 등 실질적인 운영 체계에 따라 관람객의 반응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의 대응은 단순한 행정보다 실효성에 무게를 두고 평가받을 것으로 보인다.

강릉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난해 약 70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간 전국 최대 규모의 전통축제다. 시는 단오제를 단순한 지역 행사가 아닌 도시의 문화브랜드로 키워가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 "단오제를 찾는 관광객이 축제를 안전하게 즐기고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전반적인 수용 여건을 점검 중"이라며 "교통·숙박 문제는 물론, 시민 불편도 최소화될 수 있도록 부서 간 협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백승원 기자
bsw4062@kukinews.com
백승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