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70% 유급·제적 예정…의대생 ‘자퇴 결의’로 맞대응

의대생 70% 유급·제적 예정…의대생 ‘자퇴 결의’로 맞대응

10명 중 7명 끝까지 수업 거부
의대 학생회 대표들, 자퇴 원서 공개
이주호 “유급·제적 철회 및 취소 안돼”

기사승인 2025-05-08 09:57:46 업데이트 2025-05-08 10:48:53
서울의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텅 비어 있다. 곽경근 대기자

전국 40개 의과대학의 유급 학생 명단 제출이 마감됐다. 전체 의대생 가운데 70%는 끝내 수업을 거부했다. 최종 유급 명단은 이르면 9일 공개될 예정으로, 의대생들은 집단 자퇴도 불사하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8일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7일까지 전국 의대로부터 유급 대상 학생들의 명단을 받았다. 당초 지난달 30일 명단을 받기로 했지만, 대학별 학사 일정과 의대생 복귀 현황을 고려해 기한을 연장했다.

기한은 연장했지만 의대생 10명 중 7명은 끝까지 수업에 참여하지 않았다. 교육부에 따르면 복귀율은 30% 수준으로 의대생 70%가량이 유급 대상이 될 전망이다.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5개 의대 학생들 1916명은 모두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각 대학 현황을 취합한 뒤 이르면 9일 전체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할 방침이다.

이대로라면 내년에 24·25·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상황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대체로 전체 수업 일수의 4분의 1 또는 3분의 1 이상 결석하면 유급 처분하고, 유급이 2~4회 누적되면 제적 대상이다. 한 과목에서 F학점(낙제점)을 받으면 유급이 이뤄지기도 한다. 의대는 1년 단위 학년제로 커리큘럼이 짜여있어 이번 학기에 유급되면 다음 학기에 수업을 듣기 어렵다. 의대 본과 4학년은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하다. 최종 유급 여부는 대학별 성적사정소명위원회 및 학생지도위원회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각 의대 학생회 대표들은 제적자가 나올 경우 자퇴를 택하겠다고 맞섰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7일 학생 대표 40명이 작성한 자퇴 원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의대협은 성명서를 통해 “국가 허가 없이는 개인 휴학도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교육부가 제적하겠다며 협박하는데 교육의 본질마저 왜곡하는 것”이라면서 “압박에 노출돼 기본권을 심각히 침해당하고 있는 학생 회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의대생들은 단일대오를 유지하며 유급이 되더라도 집단 수업 거부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일부 의대생 사이에선 6월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취해 미복귀자를 구제해 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이주호 대통령권한대행은 지난 5일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하거나 취소하지 않는다.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도 없다”며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