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에서 대국민 소통 행사인 타운홀미팅을 열고 “이제는 다 바꿔야 한다”며 “이제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에서 “일극체계와 불균형 성장 전략, 한쪽으로 몰아서 성장하거나 발전하는 전략은 한계에 다다른 듯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역으로 보면 수도권으로 몰려서 나머지 지역은 전부 생존의 위기를 겪는 상황”이라며 “기업이나 산업도 보면 특정 몇몇 대기업이나 재벌 기업들이 대부분 경제를 다 장악하고 또 소위 중소기업에 대한 약탈이나 다름 없는 불공정 거래가 횡행해서 문제가 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적으로도 한쪽에 ‘올인’ 하지 말자”며 “두 번째로 기업들도 보면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성공한 기업이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든 작은 기업도 경쟁력 있으면 얼마든 크고 큰 기업도 부실하거나 부당하면 시장에서 퇴출되는 그런 정상적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야 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또 이 대통령은 “여러분은 다른 생각 할 수 있어서 의견을 나눠보고 싶었다”며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가 채무 장기 연체 채무를 탕감해주자고 했더니 ‘도덕적 해이를 부르는 것 아니냐’ ‘그러면 누가 갚겠냐’ ‘나도 안 갚을래’ 하면서 문제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데 여론조사상으로 보면 동의하는 국민이 더 많은 듯하다”며 “‘나는 열심히 갚았는데 탕감해주지 말자’ ‘왜 해주냐’는 입장도 있다. 그런 문제에 대한 토론을 해보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 윤석열정부의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을 겨냥해 “대전은 과학 중심도시다. R&D에 관련된 취업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 아닐까 싶다”며 “전에 황당무계한 R&D 예산 삭감 폭격을 받은 지역이기도 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앞으로 경제를 살려야 하는데 농사를 지을 것인가, 경공업·중공업이나 첨단산업으로 갈 것인가, 첨단기술산업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 정책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데 새 정부에서는 저는 인공지능(AI)를 포함한 첨단기술산업 분야에 우리가 집중 투자하고 지원하고 육성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아울러 “그 중에 핵심은 R&D일 것이고 인재 양성이 아닐까 싶다”며 “그런 얘기를 집중적으로 하고 싶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