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시중은행의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가 3~4조원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지난 11일 금융당국으로부터 하반기 새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요청받아 올해 초 설정했던 규모의 절반으로 목표액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전 5대 은행의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액은 약 14조5000억원 규모로, 하반기 계획분은 7조2000억원이었다. 하지만 최근 제출된 목표는 약 3조6000억원으로, 기존 목표액의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아직 당국과의 조율이 남아 있어 은행별 구체적인 목표는 확정되지 않았다.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후 은행권의 대출 심사 기준은 이미 강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를 보면, 3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가계 부문을 중심으로 강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가계주택 대출태도는 –31점, 가계일반 대출태도는 –22점으로 이전분기(-11점)보다 낮아졌다. 대출태도는 –100에서 100 사이 값으로, 음수일수록 심사 기준을 강화하는 기조를 뜻한다.
한은은 이같은 강화 기조 배경으로 스트레스DSR 3단계 시행과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꼽고, 주택 관련 대출과 신용 대출 모두 심사기준이 엄격해질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의 효과는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추이를 보면, 지난 17일 기준 이달 일평균 가계대출 증가액은 1520억원으로, 지난달 일평균값의 67.5%에 달한다.
은행권은 6·27 대책 실행에 앞서 접수됐던 가계대출 신청 건이 이달 들어서도 순차적으로 승인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27일까지 이뤄진 주택매매 계약은 기존 기준대로 대출이 가능해 최근에도 꾸준히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