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 로봇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K-AI휴머노이드’가 본격 개발된다.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이하 전략연구단)’은 22일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에서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전략연구단은 ‘산업현장과 일상생활에서 인간과 함께 할 휴머노이드 동반자 실현’을 목표로 기계연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KAIST, GIST 등 9개 대학, 글로벌 기술융합을 위한 미국, 유럽 5개 해외 연구소 등 산학연이 결집해 K-AI휴머노이드를 개발한다.
또 개발한 휴머노이드와 AI 기술의 실용화 설계를 위해 ㈜에이로봇, ㈜라이온로보틱스, LG전자㈜ 등이, 휴머노이드 표준화 및 성능평가 체계 수립을 위해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참여한다.
전략연구단은 인간 이상의 신체 능력과 범용작업 지능을 갖춘 K-AI휴머노이드 개발을 목표로 휴머노이드 표준 플랫폼, 자율성장 브레인, 개방형 데이터 팩토리 확보에 중점을 둔다.

휴머노이드 표준 플랫폼은 인간수준의 동작성과 고도 감각능력에 기반을 둔 정교한 손동작이 가능한 인핸드매니퓰레이션 능력, 경량·고출력·에너지 최적화 휴머노이드 전용 구동기를 통한 인간수준 동작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체계다.
자율성장 브레인은 휴머노이드의 온디바이스에 장착돼 고수준 사고와 실시간 운동능력 처리가 동시에 가능한 휴머노이드 특화 대뇌 소뇌 구조 AI기술로, 로봇이 데이터를 모으고 지능이 성장하는 과정도 자동화돼 스스로 지능이 성장하는 자율성장능력을 구현한다.

개방형 데이터 팩토리는 휴머노이드가 충분한 지능을 습득하기 위해 필요한 대량의 휴머노이드 작업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수십 대 휴머노이드가 동시에 운영되며 방대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생성 데이터는 사업단 이외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학습된 AI모델을 사업단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K-휴머노이드 오픈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잔략연구단은 인간 수준의 고감각이 부여된 휴머노이드, 민첩한 하반신과 겅교한 상반신을 동시 구현하는 휴머노이드, 탑재 가능한 특화브레인, 지능이 스스로 성장하는 자율성장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산업협장과 일상을 함께 하는 휴머노이드 동반자 실현
기계연은 휴머노이드 전용 구동기 개발로 인간수준 동작성과 피부형 감각기술과 전신 감각기술 개발을 통한 인간수준 감각능력 구현, 운동성과 작업성이 동시에 구현된 휴머노이드 플랫폼 기술을 확보했다.
아울러 함께 연구에 참여하는 생기원은 인간과 같은 정교한 손동작이 가능한 인핸드매니퓰레이션 기술을 개발, 휴머노이드 플랫폼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할 방침이다.
또 ETRI는 인간-로봇 공존사회 실현을 목표로 언어기반 조작, 인간-로봇 상호작용 및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임무수행을 위한 절차생성 등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브레인’을 위한 로봇 인공지능 핵심기술을 K-휴머노이드에 입힌다.
개발한 AI기술은 대뇌와 소뇌의 분리구조를 통해 휴머노이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현될 예정으로, 특히 로봇이 데이터를 모으고 지능이 성장하는 과정을 자동화해 스스로 지능이 성장하는 자율성장능력으로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다는 목표다.
휴머노이드가 충분한 지능을 습득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작업하면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수다.
이를 위해서 전략연구단은 수십 대 휴머노이드 로봇이 동시 운영되며 방대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 실증도 가능한 휴머노이드 데이터 팩토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개방형 AI 플랫폼’도 함께 구현해 팩토리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전략연구단 이외의 연구자들과 함께 공유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된 AI모델을 전략연구단에서 적극 수용해 활용함으로써 ‘K-휴머노이드 오픈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 같은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열린 이번 포럼은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의 K-AI휴머노이드 비전 발제 및 토론회로 심도있게 진행됐다.
이날 발제는 박찬훈 전략연구단장의 전략연구단 비전과 목표 제시를 서두로 UCLA 데니스홍 교수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과거, 현재 그리고 우리가 가야할 길’, 라이온로보틱스 황보제민 대표의 ‘상업성 있는 휴머노이드를 위해 풀어야 될 숙제’ 등을 소개했다.
박 단장은 “AI휴머노이드는 선진국에서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 게임체인저로, 향후 자동차와 휴대폰 시장의 규모를 넘어 1가구 1로봇 시대를 가져올 것”이라며 “기계연은 주관기관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휴머노이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검증까지 완료함으로써 기업 주도로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K-AI휴머노이드 기술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