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나는 특정 국가가 자국 시장을 개방하기로 동의할 경우에만 관세를 인하할 것”이라면서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에) 시장을 개방했고 미국 기업들은 번영할 것”이라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글에서 "나는 주요 국가들로 하여금 그들의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게 만들 수 있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것"이라고 밝힌 뒤 "그것(시장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며 "그것이 없으면 각국이 개방하도록 만드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에 대한 관세는 언제나 0%”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또 다른 별도 게시물에서는 "인도네시아도 처음으로 미국에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동의했고, 이는 매우 큰 성과"라면서 "우리 기업들은 큰 이익을 얻을 것이다. 일본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오는 8월 1일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와의 무역합의를 발표하면서 시장 개방 성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시장개방 거부 시 기존에 발표한 상호관세율을 더 올릴 가능성까지 시사한 트럼프 대통령의 이 SNS 글은 각국의 비관세 장벽 철폐와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등의 양보를 압박하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한국에 대해서는 쌀, 소고기 등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한 시장 개방 확대와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사업 참여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측은 상호관세 및 자동차, 철강 등 품목별 관세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무역 및 산업 분야 고위 관계자들을 잇달아 미국에 파견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무역합의 도출을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