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가 미국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그 배경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시적 양보안을 제시하지 않는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에게 크게 분노했기 때문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양국 대통령은 협상 시한을 약 10시간 남겨둔 지난달 31일 오후 8시(스위스 시간)에 통화했다. 합의가 불발되면 스위스는 31%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의 상품 무역 흑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스위스가 더 많은 양보를 해야 한다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요구했다.
켈러주터 대통령은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쳤다는 생각은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반박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도 도움이 될 만한 제안을 내놓지 않았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격노하면서 미국은 스위스에 대해 오는 7일부터 39%의 상호관세를 적용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에 발표했던 31%보다 8%포인트 높은 관세가 부과된 것이다.
켈러 주터 대통령은 통화 다음 날인 1일 워싱턴DC로 가 추가 협상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겠지만 양측 입장이 더 좁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위스는 39%의 관세를 적용받게 되면서 관세율이 15%에 불과한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보다 훨씬 불리해졌다. 특히 대미 수출액 중 60%를 차지하는 제약업에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스위스는 1개월 전 스위스의 주요 제약업체들에 대한 미국 관세 면제 조치가 포함된 합의 초안에 합의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승인만 남겨두고 있었다.
스위스산 고가시계는 관세로 더욱 비싸질 전망이다. 대표적으로는 롤렉스, 파텍필립, 오메가 등이다. 스위스시계산업연맹은 미국의 39% 관세 결정에 대해 ‘매우 실망했고 놀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