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고속도로 공사 현장의 미얀마인 근로자 감전사고와 관련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12일 경기남부경찰청 광명~서울고속도로 공사장 사고 수사전담팀과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 인천 송도 본사와 하청업체인 LT삼보 서울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사고 발생 8일 만이자 이재명 대통령의 건설면허 취소 방안 검토 지시가 나온 지 6일 만이다. 앞서 지난 4일 오후 1시34분쯤 경기 광명시 옥길동 광명~서울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제1공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 30대 A씨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A씨는 의식을 잃은 채 병원에 이송됐다. 그는 지하 물웅덩이에 설치된 양수기 펌프를 점검하다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현재까지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노동부는 이번 압수수색에 총 70여 명을 투입했다. 양 기관은 사고가 발생한 양수기의 시공 및 관리에 관한 서류와 전자정보는 물론 현장의 안전관리 계획서,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등을 확보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포스코이앤씨가 지난달 28일에도 사망 사고를 냈음에도 사고가 반복되자 면허 취소 등 강도 높은 처벌을 검토하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가능한 사고가 아니었는지 면밀 조사하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어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 보고할 것도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네 번의 사망사고와 한 번의 인명 사고가 발생하자 안전 전문가로 꼽히는 송치영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이후 안전관리 시스템 개편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