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이민 당국에 구금된 사태와 관련해 외국 기업 근로자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담당 부처들이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9일(현지시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지아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 차원에서 미 행정부가 비자 관련 법규 개정 등을 추진하는지에 관한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일요일(7일)에 전 세계 외국 기업들과 그들이 미국에서 하는 투자에 대해 매우 감사해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그는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특히 그들이 반도체 같은 매우 특수한 제품이나 조지아에서처럼 배터리 같은 것을 만들 때는 더욱 그렇다”고 설명했다.
래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또한 이들 외국 기업이 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를 기대한다”며 “그리고 이 외국 근로자들과 미국인 근로자들이 함께 일하며 서로 훈련하고 가르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매우 미묘하면서도 책임 있는 입장을 취한 것”이라며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에 함께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출입국 및 이민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와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담당하는 상무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에 따라 미국 투자 기업 소속 근로자들의 체류 자격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 소셜에서 이번 사태를 두고 “당신들의 투자를 환영한다”며 “우리는 당신들이 훌륭한 기술적 재능을 지닌 매우 똑똑한 인재를 합법적으로 데려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길 권장한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이 그렇게 하도록 그것(인재 데려오는 일)을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