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는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 가족 등 누구나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관광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총 사업비 80억 원 규모의 무장애 관광 연계성 강화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5대 분야 14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된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내 최초로 2층까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친환경 시내 관광버스와 무장애 밴 '유비(UV·Ulsan+Minivan) 도입이다.
시는 예약 온라인 체제기반과 정보무늬(QR코드) 연계를 통해 관광객의 이동 편의도 높인다.
다음 달에는 EBS 특집방송 '세상을 비집고 - 여행을 떠나요'를 통해 청년 장애인이 유비를 타고 떠나는 울산 무장애 관광을 전국에 소개한다.
이달부터 주요 관광지와 주변 숙박·식음료 업소 대상 사전 조사를 거쳐 회전문 개선, 휠체어 접근 통로 설치, 편의물품 지원, 서비스 교육 등 시설 개선에 들어간다.
공업축제를 비롯해 대규모 축제 현장에는 경사로, 장애인 화장실, 수유실, 휠체어·유모차 대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반구대 암각화, 태화강 국가정원 등 핵심 관광지에는 무장애 동선을 설계하고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안내 콘텐츠를 도입해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면서 무장애 관광 추진협의체와 시민 참여형 점검단을 운영한다.
시는 이번 무장애 관광도시 사업을 통해 관광객 만족도 제고, 숙박·교통·외식업 등 지역 관광산업 고부가가치화, 관광 취약계층 이동권 보장 등의 성과를 기대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자연과 문화를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시설 개선과 지능형 기술을 병행해 누구나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 관광도시 울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