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한강벨트를 비롯한 주요 지역 중심 정비사업 착공에 집중할 방침인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주택 공급 대책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최근 발표된 9·7 공급 대책에는 정부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갖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시는 추후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면서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주택 공급 대책을 통해 인허가 절차 개선·규제 혁신으로 정비 사업 기간을 18.5년에서 12년으로 최대 6.5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오는 2031년까지 31만 가구를 착공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전체 착공 물량의 63.8%(19만8000가구)는 시민 수요가 많은 한강벨트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등 주요 지역에 집중된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실수요자들의 투자 심리가 자극돼 부동산 가격이 오히려 급등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오 시장은 “단기적으로 그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서울시의 주택 공급 노력이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 신규 주택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부동산 시장 불안정이 계속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