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한국 자본시장은 선진시장으로 가는 중대 기로에 서 있습니다. 코스피가 사상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며 올들어 주가 상승률은 G20 국가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 중입니다. 한국거래소는 코리아 프리미엄이라는 뉴노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9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KCMC 2025’(Korea Capital Market Conference 2025) 개회사를 통해 “정부의 일관된 자본시장 정책과 첨단·주력 산업의 혁신과 대전환의 기대가 반영되며 국내 시장이 재평가 되고 있는 과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은보 이사장은 그간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는데 그치지 않고 코리아 프리미엄을 위해 △기업가치 제고 △공정·투명한 시장 만들기 △자본시장 글로벌 흐름에 선제 대응 등 과제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을 보다 정교화해 기업의 성과와 장기 성장전략이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적시 공시되도록 지원하겠다고”며 “이를 통해 주주환원이 확대되고 기업 스스로 합리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해 주주가치 경영이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반 투자자가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을 만들겠다는 의지도 전했다. 거래소는 기업공개(IPO) 시장의 건전성 제고를 위해 기관투자자의 의무 보유확약을 확대하고 주관사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실 좀비기업이 시장을 교란하지 않도록 상장폐지 요건을 강화하고 그 절차를 효율화 하는 등 진입 퇴출 체계를 지속적으로 합리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글로벌 자본시장이 전례없는 변화와 혁신의 무한경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선제적 대응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유치를 위한 전략도 내놨다. 정 이사장은 “이미 파생상품 자체 야간 거래를 시작한 거래소의 주식 거래시간 연장 논의 역시 글로벌 경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면서 “24시간 거래 체제로 가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전통 자산과 디지털자산,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금융(Defi)이 경쟁적으로 서로의 영역을 침투하며 투자상품과 금융시스템 지형을 크게 바꾸고 있다”면서 “한국거래소는 전통 자산의 토큰화(Tokenization)와 디지털자산의 증권화 두 개의 큰 흐름에 대비해 토큰증권(STO),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신상품을 준비하는 등 미래 금융의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올해 2회차를 맞이한 KCMC는 오는 30일까지 열린다. 한국 자본시장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외 시장 참가자들의 소통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