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2년까지 일자리 10만7천개 만든다…文대통령 “신산업 육성·규제혁신” 강조

정부 2022년까지 일자리 10만7천개 만든다…文대통령 “신산업 육성·규제혁신” 강조

기사승인 2018-10-04 16:32:04 업데이트 2018-10-04 16:32:09

정부가 미래차, 반도체·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IoT)가전,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등 5개 분야에서 125조원 규모의 140여개 민간 투자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부의 마중물 투자로 오는 2022년까지 10만7000개의 일자리 만들기에 나선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4일 오전 SK하이닉스 청주공장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제8차 회의를 열고 5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일자리 창출 민간 투자프로젝트 지원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현장형 회의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대·중소·벤처기업, 근로자와 구직자 등이 참여해 신산업 일자리 창출 사레를 포함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결국 기업이다. (고용 문제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 내도록 활력을 회복하는 데에 집중하겠다”며 일자리위원회가 논의한 ‘신산업 일자리 창출방안’에 대해 “특별히 중요하다. 이 프로젝트가 추진되면 125조원의 투자를 통해 9만2000여개의 좋은 민간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신산업 일자리 창출 민간 투자프로젝트와 관련 정부는 주력산업 분야로 미래차와 반도체·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IoT)가전을 신산업 분야로 에너지신산업과 바이오·헬스 등 5개를 선정했다.

정부는 우리의 제조 강점, 4차 산업혁명 등 대외환경 변화를 고려해 5개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민간의 투자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부의 마중물 투자 등을 통해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혁신성장의 성과가 중소·중견기업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는 협력적 상생생태계 강화에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기업별 업종별 단체를 통해 5개 산업 분야에서 140여개의 민간 투자프로젝트(125조원 규모) 발굴해 민간의 투자프로젝트 이행을 통한 일자리 9만2000개, 정부 지원사업을 통한 일자리 1만5000개 등 오는 2022년까지 10만7000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자리위원회는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해 신속 인허가, 규제개선, 산업인프라 적기 공급 등 직접적인 애로사항 해결과 초기시장 창출, 시범·실증사업 등의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적기 투자실행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역할에 대해 문 대통령은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민간의 프로젝트를 정부가 측면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는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서포터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정부는 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도우미가 돼야 한다. 부처 간 칸막이 없이 원스톱으로 지원해야 한다. 규제혁신도 가속해야 한다.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혁신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한다”고 당부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