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실시하는 ‘공공분야 지능형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사업’ 일환으로 정보통신기기(ICT 디바이스)를 활용 조류독감(AI) 예방과 노후시설물 붕괴위험 사전 감지,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편의를 지원하는 현장테스트가 실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방자치단체 수요로 중소기업에 의해 개발된 관련 디바이스를 각 지자체별로 오는 23일부터 현장 테스트를 실시 후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전남 나주시는 조류독감 예방 디바이스를 지역 90개 가금류 농장에 설치한다. 농장 입구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이 소독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소독 미필 차량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를 통해 진입 경고방송 및 출입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농장주에게도 휴대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련 상황을 통보하여 필요시 농장주가 자체 소독 후 출입시킬 수 있다.
현재는 각 지자체별로 소독시설을 마련해 소독필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농장주는 차량 출입 시 일일이 소독필증을 직접 확인해야 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을 설치하면 소독필증을 받은 차량의 번호를 등록해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 구로구는 노후시설물 붕괴 사전 감지·경보 시스템을 관내 노후 빌라 등 21개 구조물에 설치한다.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건물에 부착한 뒤 건물의 진동, 기울기,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해 붕괴 위험성을 감지한다. 이상 징후 발생 시 구청에서 운용하는 관제시스템을 통해 건물주 및 지자체에 경보를 발령한다. 이후 관련 공무원의 현장방문 및 주민 대피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북 전주시는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동편의 지원 시스템을 전주시내 3개 노선을 대상으로 총 214개 버스 정류장에 설치한다.
노인, 장애인 등 교통약자에게 정류장에 설치된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 저상버스 위치 및 노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전주시가 운영하고 있는 교통약자 전용버스인 어울림버스에 대한 예약·호출을 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사회안전과 약자보호 등 국민 생활문제 해결을 ICT로 지원하는 ‘공공분야 지능형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사업’을 지난 2015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국민 생활문제를 일선에서 잘 알고 있는 지자체를 통해 기술개발 과제를 선정해 중소기업을 통해 개발함으로써 국민 생활문제 해결을 도모하고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공공시장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어린이 통학차량 사고예방(용인시), 전통시장 화재 조기감지(진주시), 야생동물 농작물 피해방지(경북 봉화군) 디바이스 등을 개발하여 지자체에서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