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는 이날 오후 3시 조경식 2차관 주재로 브리핑을 열고 25일 발생한 KT 인터넷 장애의 원인을 설명할 예정이다.
KT 측은 라우팅(네트워크 경로 설정) 작업 중 정보 입력 과정에서 명령어 한 줄이 빠지는 오류로 인해 전국망 마비 사태가 일어났다고 보고했다.
구현모 KT 대표는 전날 오전 서울 종로구 KT혜화타워에서 국회 과방위 소속 여당 의원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을 만나 "작업자가 원래 야간작업으로 승인받았는데 주간에 해버린 것"이라며 "그동안 내부에서 엄격한 프로세스를 적용해 망 고도화 작업이나 라우팅 경로 작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발생했다. KT를 믿고 이용해준 고객 여러분께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협력사가 작업했지만 관리·감독 책임은 KT에 있기 때문에 (이번 사고는) 전적으로 KT 책임"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날 구현모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이사회를 열고 피해보상안과 재발방지책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 대표는 보상 문제와 관련해 기존의 보상 관련 약관이 마련된 지 오래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현행 KT 약관상 이용자는 하루 3시간 이상, 1개월 누적 6시간 이상 장애를 겪어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구 대표는 전날 "약관상 3시간이라고 하는 기준은 마련된 지가 오래됐다는 생각"이라며 "일정을 조율해 내부 이사회에서 보상을 논의하겠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에서 구 대표는 현재 약관을 뛰어넘는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보상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KT가 사태 초기 인터넷 장애 원인을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발표했다가 2시간여만에 라우팅 오류로 정정한 것에 대해 KT 차원에서도 '섣부른 판단'이었음을 인정했다고 전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