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여행 수요가 본격 회복되면서 여행 관련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접수된 여행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3922건에 달했다. 이 중 국외여행 피해가 85.6%(3356건)를 차지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피해 유형별로는 계약해제 시 과도한 위약금 청구, 환급 불이행·지연 등 계약 관련 피해가 66.0%(2587건)로 가장 많았다. 일정 임의 변경, 현지 가이드나 숙소 관련 불만 등 여행 품질 문제도 25.4%(996건)를 차지해 꾸준히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행사의 경영난이 이어지면서 적립식 여행계약 만기 환급 지연, 패키지여행 해제 시 환급 불이행 사례가 늘고 있다. A씨는 월 10만 원씩 40개월 납입한 뒤 전액 환급받기로 했던 소비자가, 경영난을 이유로 환급까지 1년 이상이 소요된다는 통보를 받았다. B씨는 16일 전 여행사로부터 일방적인 계약해제를 통보받은 뒤 204만9800원을 환급받지 못했다.
여행 품질과 관련한 피해도 끊이지 않고 있다. ‘노쇼핑·노옵션’ 패키지를 계약했지만 가이드의 쇼핑 강요와 불성실한 업무 수행이 문제가 된 경우도 있다. 또 프리미엄 패키지 상품을 구매했음에도 공사장 인근 호텔과 노후 차량이 제공돼 소비자 불만이 접수된 사례도 있다.
평균 계약금액은 약 358만원으로, 30대 소비자가 28.6%(1109건)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2.2%(1262건)로 가장 많았고, 서울(25.5%), 인천(6.6%)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여행소비자협의체를 통해 여행업계 관행 개선에 나서는 한편, 소비자들에게는 △여행사 영업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계약 시 위약금 규정 및 약관 확인 △가급적 신용카드 할부 결제 △여행 중 증빙자료 확보 등을 당부했다.
또한 여행사가 환급을 이행하지 않거나 실질적 휴·폐업 상태로 확인될 경우, 지자체와 협력해 사업자등록을 직권 말소하고 소비자가 영업보증보험으로 배상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여행 수요 회복과 함께 소비자 피해도 함께 늘고 있다”며 “계약 단계부터 주의 깊은 확인과 안전한 결제수단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