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주한미군 축소 가능성에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향해 ‘주한미군’과 ‘한·미·일 연합 군사훈련’ 비하 발언을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김 후보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주한미군 4500명을 철수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며 “이는 공식적인 발표가 아니지만, 대한민국 안보와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과거 주한미군을 점령군이라고 헐뜯은 바 있다. 한·미·일 연합 군사훈련을 ‘극단적 친일 행위’라고 매도하기도 했다”며 “지금이라도 과거의 발언을 사과하고, 한미동맹에 관한 확고한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했다.
김 후보는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강력한 한미동맹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역을 뒷받침하는 핵심축”이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셰셰’나 ‘땡큐’도 아닌 국익을 지킬 전략과 실력”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새 정부가 출범하면 즉각 한미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주한미군 주둔과 확장억제 강화 방안을 협의해나가겠다”며 “한미동맹 기반 위에 ‘핵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와 ‘한국형 3축 체계 고도화’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주한미군 일부 이전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주둔 지역은 인도·태평양·괌 등을 고민하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3일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주한미군 이전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 배경으로 미국의 중국 견제가 꼽히고 있다. 주한미군 중 일부가 인도·태평양 지역에 주둔할 경우 중국해 직접 견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엘브리지 콜비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은 “한국에서 병력을 철수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며 “주한미군은 중국에 집중하고, 한국은 북한의 재래식 방어를 더 부담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