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아니었으면 기준금리가 현 수준보다 더 낮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1일(현지시간) CNBC와 포브스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포르투갈 신트라에서 열린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에서 관세가 아니었다면 올해 금리를 더 낮췄을지 질문을 받자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답하며 이같이 말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의 규모, 또 관세의 영향으로 미국의 모든 인플레이션 전망이 근본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을 보고 우리는 (금리 인하를)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준이 관세에 과잉 반응을 한 것은 아니다”라며 “미국 경제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이상 기다리면서 관세 영향을 지켜보는 게 신중한 선택이라고 생각했다”고 부연했다.
연준은 오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금리 정책을 결정한다. 이에 이날 포럼에서는 7월 금리 인하를 예상해도 될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파월 의장은 “자료에 달려 있다”라고만 답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금리 인하 압박을 받는 게 임무를 더 어렵게 하느냐’고 묻는 말에 “그저 내 일에 집중하고 있을 뿐”이라며 “의회가 우리에게 부여한 목표인 고용 극대화와 물가안정, 금융안정 등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파월 의장의 향후 거취에 관한 질문도 나왔다. 미국에서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에 대한 압박이 커지며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차기 연준의장에 지명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내년 5월 임기가 끝나는 파월 의장은 이날 "(거취에 관해) 오늘은 알려줄 것이 없다"라고 했다. 이어 그는 “나와 연준의 모든 이가 원하는 것은 가격 안정과 최대 고용, 금융 안정을 갖춘 경제”라며 “어떻게 하면 그렇게 할 수 있는가. 그 질문이 나를 잠 못 들게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나는 후임자에게 좋은 상태의 경제를 물려주고 싶다”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