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주시 적서동 농공단지에 추진 중인 납폐기물 재생공장 설립을 둘러싸고 환경·건강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영주시의회가 대응에 나섰다.
영주시의회는 최근 시민들의 우려에 대응하고자 ‘납폐기물 재생공장 대책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현안 대응에 착수했다고 2일 밝혔다.
해당 공장은 ㈜바이원이 추진 중으로, 시민 생활권 반경 5km 이내에 어린이집, 학교, 공동주택 등이 밀집한 지역에 들어설 예정이어서 지역사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시민단체인 ‘영주납공장반대시민연대’는 시의회에 공식 요청서를 제출하고 “납재생공장은 전 연령대 시민 건강에 잠재적 위협”이라며 간담회·공청회 개최 및 전문가 참여를 요구했다. 시민연대는 20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총 7만 명을 목표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에 의회 특위는 시민연대 대표와 면담(6월 20일), 시청 관계자와의 논의(6월 23·26일)를 잇달아 진행하며 행정 처리 과정의 문제점을 짚었다.
특히 납폐기물 재생공장 인허가와 관련된 소송 과정, 대기오염물질 축소 신고 의혹, 주민 의견 수렴 절차 미비 등이 도마에 올랐다.
특위는 향후 △ 시민·행정·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공청회 개최 △ 사업 예정지 현장 방문 △ 타 지자체의 유사 사례지 견학 등 실효성 있는 활동을 예고했다. 이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특위는 영주시에 △ 대기오염물질 축소 신고 의혹에 대한 외부 전문기관 재산정 △ 소송 과정의 쟁점인 측정 방식에 대한 환경부 질의 △ 주변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재분석 △ 하승수 변호사 등 외부 전문가 지적사항에 대한 공식 검토와 직접 소통을 요청했다.
전풍림 특별위원장은 “시민의 건강과 환경권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가치”라며 “특위는 시민의 뜻을 대변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