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진서 9단이 2025년 상반기 다승·승률·연승 부문을 모두 석권하며 독주 체제를 이어갔다.
2025년 1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바둑계 기록을 결산한 결과 신진서 9단은 35승6패, 승률 85.37%로 다승과 승률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4년 12월21일부터 시작된 연승을 2025년 3월27일까지 이어가며 25연승으로 연승 부문에서도 정상에 올랐다.
상금 부문에서도 신진서 9단이 1위에 올랐다. 2022년부터 상반기 상금왕에 올랐던 신진서 9단은 난양배 초대 우승(2억6000만원), 농심신라면배 5연패 견인(1억5400만원) 등 맹활약을 펼쳐 5억6000여만원의 수입을 올렸다.
가장 많은 대국을 소화한 기사는 박정환 9단으로, 47국을 둬 30승17패(승률 63.83%)를 기록하며 다승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시니어 최강자로 꼽히는 유창혁 9단은 19승5패, 승률 79.17%로 승률 2위에 올랐다.
제26기 맥심커피배에서 신진서 9단을 누르고 우승한 이지현 9단은 18연승으로 연승 2위에 오르며 랭킹을 13위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인 4위까지 끌어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총 2341국(한국프로기사협회리그 992국 제외)의 대국이 치러졌으며, 외국기사 간 대국 343국을 제외하면 한국 프로기사 대국수는 1998국으로 집계됐다. 1국 이상 출전한 프로기사는 344명으로 이들의 1인당 평균 대국수는 10.8국으로 조사됐다.
여자기사 중에서는 김은지 9단이 28승16패(63.64%)로 다승 1위에 올랐고, 최정 9단이 69.23%(18승 8패)로 여자 최고 승률을 기록했다. 스미레 4단은 27승15패, 64.29%로 다승과 승률 모두 2위에 자리했다.
한편 상반기 동안 치러진 4개의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에서는 한국이 LG배(변상일 9단)와 난양배(신진서 9단), 중국이 북해신역배(왕싱하오 9단)와 춘란배(양카이원 9단)를 각각 차지하며 우승 트로피를 2개씩 나눠 가졌다. 2025년 최종 성적표는 국내 및 세계대회 결승이 집중된 하반기 결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