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추가경정예산이 반영된 올해 1월부터 5월까지의 나라살림 적자는 54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재정 상황이 다소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역대 네 번째로 큰 규모의 적자다.
1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7월호’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총수입은 279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조6000억원 증가했다.
1차 추경 기준으로 총수입 진도율은 42.9%였다.
이 중 국세수입은 172조3000억원으로 작년보다 21조3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세 수입은 기업 실적 개선과 이자·배당소득 증가 영향으로 14조4000억원 증가했다. 소득세도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납부 증가와 성과급 지급 확대, 근로자 수 증가 등으로 인해 6조2000억원 늘었다.
세외수입은 17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6000억원 증가했지만 기금수입은 90조원으로 3조3000억원 줄었다.
같은 기간 총지출은 315조3000억원으로 작년보다 4조9000억원 증가했으며, 진도율은 45.9%로 나타났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5조5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 재정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54조2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총수입 증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조2000억원 개선된 수준이지만, 여전히 2020년, 2022년, 2024년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큰 폭의 적자다.
5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217조8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9조9000억원 늘면서 처음으로 1200조원대를 넘어섰다.
정부는 오는 9월 발표될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서 2차 추경까지 반영할 예정이며, 이 경우 연말까지 국가채무는 1301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9.1% 수준이다.
6월 한 달간 국고채 발행 규모는 23조8000억원이었으며, 올해 상반기 누계 123조8000억원이 발행돼 연간 한도의 59.8%를 채웠다. 같은 달 외국인의 국고채 순투자는 5000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 국고채 금리는 2차 추경 기대감이 선반영되고 금리 인하 전망이 약화되면서 전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