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양대학교의료원 노동조합이 2025년도 임금 인상률을 두고 병원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총파업에 돌입했다.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건양대의료원지부는 28일 오전 병원 로비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병원이 크게 성장했지만, 구성원 처우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건양대의료원은 대전 지역 대형 사립대병원으로 개원 25년 만에 상급종합병원으로 급성장했다”며 “의료원의 발전과 성장은 구성원들이 노력한 결과이지만,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은 철저히 배제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건양대의료원은 동급 사립대병원보다 임금이 약 30% 낮은 상황에서 아직도 주 6일 근무를 하고, 비상식적 인사제도로 승진의 기회는 박탈됐으며,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이 최하위 직급에 분포됐다”며 “노조는 스스로 바꿀 의지가 없는 의료원을 방치하지 않고, 바꿀 수 있도록 행동으로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병원 측은 입장문을 내고 노동자 처우가 낮다는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건양대의료원은 총파업 상황에서 환자들을 위해 진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상진료대책반을 운영하는 등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건양대의료원 관계자는 “이번 파업으로 인해 진료에 불편을 겪는 환자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병원은 올해 평균 임금 인상률과 병원의 재정 여건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3%의 인상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7.8%의 비현실적 인상안을 고수하며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총파업을 선언했다”고 말했다.
총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 우려에 대해서는 “의료진을 재배치하고 대체 인력을 보강해 진료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며 “불가피하게 일정이 변경된 환자들은 우선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로 인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병원 측의 입장을 두고 노조는 의료원이 건물 신축이 아닌 인력에 대한 투자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외면하고 있다고 짚었다.
노조 관계자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노조가 요구한 임금 인상안은 복지성 급여까지 포함한 7.8% 인상안이었다”며 “의료원 측은 임금 인상과 복지수당 등을 모두 합친 3% 인상을 말하고 있어 이견의 폭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반론했다.
그러면서 “의료원은 지난 2024년에 의료수익만 3000억원 이상을 냈고, 의료이익도 약 400억원이었다”며 “병원이 잇따라 건물을 신축하는 상황에서 직원에 대한 투자는 어렵다는 입장은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건양대의료원 파업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노조 관계자는 “병원 측에 대화 의사를 전달했지만, 교섭 재개 요청을 하지 않고 있어 파업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