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 신고된 서울 아파트의 절반이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당분간 저가 아파트 매매가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 이후 지난 10일까지 43일(6월28일~8월10일)간 신고된 아파트 유효 거래량은 총 464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9억원 이하 거래가 49.5%(2052건)에 달했다.
대출 규제 직전 43일(5월16일~6월27일)간 신고된 1만4528건 중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37.7%(5473건)였던 것에 비해 11.8%p(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거래량은 통계의 왜곡을 막기 위해 공공기관이 매입임대사업용으로 매수한 저가의 초소형 아파트 계약 해제 건을 제외한 뒤 산출해 비교했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은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는 주택담보대출(LTV)이 70%다. 이 경우 LTV를 최대로 받는다고 가정할 때 6억원의 대출 한도가 줄지 않는 집값의 상한이 9억원 선이다.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시행되면서 소득 대비 대출 한도가 줄어든 것도 저가 위주의 거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14.7%였으나 대출 규제 후에는 22.8%로 8.1%p가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매매는 대출 규제 전 23%에서 규제 후 26.8%로 3.8%p 늘었다.
반면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34.7%에서 대출 규제 후에는 28.6%로 6%p 가량 비중이 축소됐다.
전문가는 이러한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대출 규제로 인해 소비자들이 마련할 수 있는 자금에 한계가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9억원 이하 아파트의 매매가 늘어나고 있다”며 “최소 6개월 정도는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