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이사비 지원

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이사비 지원

서울 청년인구 3년 연속 순유입…전체 대비 1인 가구 64.48%

기사승인 2025-08-11 18:51:17 업데이트 2025-08-11 18:53:32
지난해 9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역 앞에서 시민들이 회사로 출근하고 있다. 유희태 기자

지방에서 상경하는 청년들이 해마다 꾸준히 생겨나는 가운데,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 중 1인 가구가 절반을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이사가 잦고 전세사기 피해에 노출되기 쉬운 청년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을 다방면으로 펼치고 있다.

지난 6월 시가 공개한 ‘서울특별시 청년 통계(2023)’에 따르면, 서울 거주 19~39세 청년인구는 2023년 기준 286만명으로 전체의 30.5%를 차지했다. 이 중 서울로 순유입된 청년인구는 2022년 3만1551명, 2023년 2만7704명, 2024년 1만5420명으로 3년 연속 순유입됐다. 서울 전출보다 전입을 선택한 청년이 더 많았던 셈이다.

시는 2022년 전체 청년 가구(120만319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이 64.48%(77만4001가구)로 나타난 데 주목했다. 특히 청년 가구의 44% 이상이 50㎡ 미만 소형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주거 형태 또한 단독·아파트에서 다세대·오피스텔 등으로 다양화됐다. 이에 시는 서울에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청년 부동산 중개 보수·이사비 지원’이 대표적이다. 12일부터 신청자 4000명을 모집하는 이 사업은 앞서 지난 상반기에도 6000명을 지원했다. 대상은 지난 2023년 1월1일 이후 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한 19~39세 무주택 청년으로, 거래금액 2억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면서 중위소득 150% 이하일 때 신청할 수 있다.

시는 요건을 충족하는 신청자가 선정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사회적·주거취약청년을 우선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엔 자립준비청년에 더해 전세사기 피해·가족돌봄 청년·청소년 부모를 우선 지원 대상으로 추가했다. 이때 총 458명(전체의 7.9%)이 해당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80% 이상이 지하(반지하 포함)·옥탑방·고시원에 거주하고 있었다.

아울러 상반기 신청자 8547명 중 90.5%는 1인 가구로 20대(68.5%)가 가장 많았다. 또 절반 이상(69%)이 원룸에 살고 있었으며 신청자의 76.1%는 30㎡보다 좁은 면적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최종 선정된 5735명은 부동산 중개 보수·이사비 지원금으로 1인당 평균 33만7860원을 받았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이미 청년 월세 지원을 따로 하고 있는 만큼, 이번 사업은 주거비 자체를 지원한다기보다 부동산 중개 보수·이사 비용처럼 이사할 때 드는 부담을 덜어준다는 측면으로 보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시는 ‘찾아가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지원 현장 설명회’도 연다. 이 설명회는 전세사기 피해 지원·예방 특강과 변호사, 법무사, 공인중개사가 참여하는 일대일 상담 부스로 구성된다. 청년들의 피해 접수 절차와 서류 준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현장에서 바로 서류 작성 방법을 교육하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설명회는 오는 19~20일, 다음달 2일 용산구 서울광역청년센터에서 진행된다. 참가 대상은 전세사기 피해·우려가 있는 청년 임차인으로 13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시는 신청 인원이 많을 경우 “피해가 집중된 관악구·강서구·동작구 지역 거주 청년을 우선 접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노유지 기자
youjiroh@kukinews.com
노유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