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지상파방송 전송기술이 북미(北美)표준 제정에 이어 브라질 차세대 방송 표준으로 채택되는 쾌거를 이뤘다.
ETRI는 브라질 차세대 방송 서비스(DTV+)를 위한 물리계층 전송 방식이 브라질 대통령령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 기술은 ATSC 3.0 기반 다중송수신안테나(MIMO)와 계층분할다중화(LDM)를 결합한 전송기술이며, 지난 2024년 9월에 ATSC 3.0 물리계층 국제표준으로도 공식 채택됐다.

브라질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 도입을 위한 TV 3.0 프로젝트에 따라 2020년 물리계층, 전송계층, 비디오/오디오 등 기술분야에 대해 기술제안요청서를 공개하고 후보 기술을 모집했다.
ETRI는 ATSC 3.0 기반 MIMO 및 LDM을 결합한 새로운 전송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이를 북미방송 표준화 기구인 ATSC와 함께 공동으로 브라질 차세대 방송 표준의 물리계층 후보 기술로 제안했고, 일본, 중국, 유럽의 글로벌 방송 기관도 각각 후보 기술을 제안했다.
TV 3.0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브라질 SBTVD 포럼은 제안된 네 개의 후보 기술에 대해 엄격한 실험실 기술검증을 거친 후, 우리나라의 ATSC 3.0과 일본의 Advanced ISDB-T 기술을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
ETRI는 국내 방송통신장비 기업인 클레버로직과 함께 시제품을 개발, 최종 선정 절차인 실환경 시험에 적극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브라질의 추가 요구사항인 MIMO 송신기 식별 기술 및 LDM 기반 지역방송 삽입 기술을 추가로 개발했다.
브라질의 SBTVD 포럼은 기술의 완성도, 성능 및 상용화 가능성, 경제적 효과 등을 면밀히 검토한 끝에 ETRI 제안기술을 차세대 지상파 방송 물리계층 전송 방식으로 최종 채택하고, 브라질 정부는 이를 대통령령으로 공식 승인했다.
브라질 최대 방송사 TV Globo는 ETRI 연구진이 개발한 MIMO와 LDM 결합기술을 사용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2024 파리 올림픽’을 시연한 바 있다.
ETRI는 MIMO와 LDM 결합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ATSC 3.0 기술의 차세대 브라질 방송 표준 채택을 견인했다.
ETRI 박성익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6월 ATSC로부터 브라질 및 인도 표준화 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2024년 ATSC 리처(Richer) 산업 메달’을 수상했다.
ATSC 3.0은 ETRI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기업이 적극 참여해 개발한 기술이자 대한민국이 전 세계 최초로 도입한 기술로, 국내 업체들이 해외 방송 장비 시장에 활발히 진출하는 계기가 됐다.
이번 브라질의 ATSC 3.0 기술 도입을 통해 ATSC 3.0 방송기술이 남미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을 높였으며 국내기업의 남미 시장 진출 주도권 확보 기회를 마련했다.
브라질의 ATSC 3.0 채택은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국가와 한국 간 지속적인 기술 협력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양국의 방송 산업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방승찬 ETRI 원장은 “이번 표준 채택은 2020년에 북미표준으로 채택된 이래로 ETRI가 원천기술 개발과 글로벌 기술경쟁을 주도해 일궈낸 쾌거”라며 “국제적 기술영향력 확보라는 과실을 거둔 국제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초고품질 UHD(UHQ) 전송 기술 개발’ 및 ‘지상파 8K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송수신 기술 개발’, ‘ATSC 3.0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과제로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