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8일 정식 개통을 앞둔 한강버스를 둘러싸고 안전성과 특혜 의혹이 제기되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더불어민주당의 공세”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전문가들은 한강의 관광자원적 가치를 고려할 때 사업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오 시장은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강, 서울의 미래’ 토론회 축사에서 “20년 전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도 ‘특혜다’, ‘자연성 파괴다’ 같은 이치에 닿지 않는 비판이 있었다”며 “하지만 자전거길, 산책로, 한강공원은 이제 연간 8000만명이 찾는 여가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강버스도 한강의 역사를 새로 쓸 것”이라며 “퇴근길 시민이 스트레스를 날려버릴 힐링 공간이자 서울의 명물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강의 미래 가치를 평가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 주최로 열린 자리에는 유흥주 한강시민위원회 위원장, 임현택 국민대 특임교수, 박동진 이크루즈 대표이사,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 김상혁 가천대 관광경영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김 교수는 “서울은 국제도시에 비해 관광자원이 부족하다”며 “생태공원과 문화시설을 확충해 한강의 매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싱가포르가 수변 개발을 통해 ‘재미없는 도시’ 이미지를 벗고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수상크루즈, 수변공원 등을 관광 자원화한 사례를 들었다. 또 “한강 관광이 활성화되면 서울의 도시브랜드도 새롭게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동진 이크루즈 대표이사도 “한강 수상교통은 단순한 경관 감상을 넘어 서울 관광지를 잇는 매개가 될 수 있다”며 지류 연결을 위한 소형 선박 도입을 제안했다.
반면 민주당은 “서울시가 선박 제작 경험이 없는 신생 업체를 선정해 개통이 지연되고 사업비가 불어났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국회 농해수위 감사 결과에서도 위법 사항이 없다고 결론 났다”며 “마타도어식 정치 공세를 중단하라”고 반박했다.
한강버스는 마곡·망원·여의도·잠원·옥수·뚝섬·잠실 등 7개 선착장을 오가며, 서울주택도시공사와 민간사업자 이크루즈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추진했다. 당초 지난해 10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선박 건조 지연으로 이번 달까지 미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