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사태’ 막는다…美, 외국 투자기업 비자 개선 추진

‘조지아 사태’ 막는다…美, 외국 투자기업 비자 개선 추진

기사승인 2025-09-10 21:46:18 업데이트 2025-09-10 21:55:04
미국 이민당국에 구금된 한국인들을 데려오려던 전세기 출발이 미국 측 사정으로 인해 어렵게 된 10일(현지시간) 한국인들이 수감돼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 주차돼 있던 버스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노동자 300여명이 불법 체류 혐의로 구금된 사건을 계기로 외국 기업 노동자의 비자 제도 개선에 나섰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 대책과 관련한 질문에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전 세계 기업과 그들이 미국에 하는 투자에 감사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그는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노동자를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길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이들 기업이 반도체 같은 매우 특수한 제품이나 조지아의 경우처럼 배터리 같은 것을 만들 때는 더욱 그렇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이들 외국 기업이 미국인을 고용하고, 외국 노동자들과 미국인 노동자들이 함께 일하며 서로 훈련하고 가르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출입국 및 이민 정책을 총괄하고 상무부는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담당하는 곳이다. 이번 조치는 한국 기업들이 까다로운 전문 기술 비자(H-1B) 대신 단기 방문비자(B-1, B-2)나 전자여행허가(ESTA)를 활용하다 발생한 구금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외국 기업이 우수한 기술 인력을 합법적으로 미국에 데려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한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방미 일정 중 워싱턴 주재 한국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비자 문제를 포함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