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을 현행 25%에서 15%로 낮출 수 있도록 한미 양국 정부가 무역협상 후속 합의에 빨리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18일(현지시간) 무뇨스 사장은 이날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글로벌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열린 ‘2025 최고경영자(CEO) 이베스터 데이’에서 미국 관세의 이익 영향에 관한 애널리스트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무뇨스 사장은 “오늘 제공한 실적 가이던스는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율이 15%로 내려온다면 기존 가이던스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금 이익률이 낮아진 게 25% 관세 때문이지만 관세 여부와 무관하게 고객 중심 매출 확대와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올해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를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상향했다. 반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에서 6.0∼7.0%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으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는 상태다. 반면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해 적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