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지지율 반등·민주당 하락 ‘디커플링’…“중도층 반감 막아야”

李대통령 지지율 반등·민주당 하락 ‘디커플링’…“중도층 반감 막아야”

“국민, 정부·민주당 ‘원팀’ 아닌 구분해서 보는 것”
국힘, 민주당 하락에 반사이익 못 얻어…“민생 회복이 해법”

기사승인 2025-10-30 06:00:07
말레이시아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하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대화하며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이 3개월 만에 소폭 상승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지속 하락하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났다. 정치권에선 여당이 정쟁으로 인해 중도층의 반감을 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평가를 물은 결과 긍정 평가(지지율)는 51.7%로 나타났다. 이는 7월 조사(64.2%)보다 하락했지만, 지난달(50.1%)보다 1.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여당인 민주당 지지율은 35.2%로 집계됐다. 7월 조사(44.9%) 이후 8월 37.0%, 9월 36.7%에 이어 4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디커플링 현상이 최근 국정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당정 간 불협화음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이어진 충돌과 논란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하상응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패턴이 여론을 잘 반영하고 있다면 국민들이 행정부인 이재명 정부와 입법부 다수당인 민주당을 원팀이 아닌 명확하게 구분해서 보는 것”이라며 “국정감사 관련돼 나오는 여러 잡음이 반영된 결과다. 유권자들이 보다 합리적으로 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대통령은 나름대로 열심히 뭔가 하려고 하는데, 여당이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좀 있다”며 “특히 법사위 여야 의원들이 지속 싸우는 것에 실망해 지지율 분리로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도 ‘모두의 대통령’이라고 표명하고 대통령실에서 극단적으로 야당을 디스하지 않는데, 여당이 최전선에서 더 싸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25.5%로 집계됐다. 7월(17.5%) 이후 8월 23.2%, 9월 24.7%로 꾸준히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25% 수준의 ‘박스권’에 머무르는 모습이다. 특히 민주당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늘어나면서 반사이익은 크지 않았다.

이번 조사에서 ‘지지 정당 없음·잘 모름’ 응답은 25.7%로, 지난달(21.7%)보다 4%p(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7월(23.8%), 8월(23.0%)의 하락세 이후 다시 급등한 것이다.

최 평론가는 “정쟁이 심할 때 중도층은 마음이 떠난다. 정쟁이 심할 땐 정치인 자체를 외면하게 된다. 늘 그래 왔다”며 “법사위의 싸움이나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축의금 논란 등이 쌓이면 반감이 생겨 정치 피로도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선 승리가 목표라면 민생 회복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정치·경제 효능감이 체감 돼야 (정당을) 인정하게 된다. 정치적으로 혼란했지만 뒤돌아보면 ‘좀 나아졌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런 흐름이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 평론가는 “지지율은 지난 12·3 비상계엄 이후 정상화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중도층 이동이 크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표심과 한미 정상회담·북한·중국 관계 등 대외 관계가 내년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한 설문지를 이용한 유선 전화면접(4.6%), 무선 ARS(95.4%)를 병행해 진행됐다. 응답률은 2.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다. 표본 추출은 유무선 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방식이며 통계보정은 2025년 5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길리서치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