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과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 기업 인수합병(M&A)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현 정부가 대기업의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를 개선하고, 금산분리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 대기업의 금융 계열사 매물 출현 가능성이 커지는 영향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금융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금융그룹 통합감독시스템 도입과 금융계열사가 보유한 비금융계열사 지분의 의결권 한도 제한을 위한 막바지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들 정책은 모두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을 업격히 구분하고, 양측의 리스크 전가를 차단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대기업들도 정부의 이러한 재벌개혁 정책에 따라 지배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그룹의 SK증권 매각이나 현대중공업의 하이투자증권 매각 역시 모두 이러한 흐름과 일맥상통한다. 최근에 지주사로 전환한 롯데 역시 4년 이내에 금융계열사를 처분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지배구조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금융권의 높은 M&A 수요 역시 빅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신한금융과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M&A가 추진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먼저 신한금융은 신한카드 인수 후 사실상 멈춰선 M&A에 기업의 성장동력이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현대증권과 LIG손해보험을 인수한 KB금융의 추격에 시가총액이나 순익 측면에서 뒤쳐지며, 리딩금융그룹의 입지가 흔들리기 시작해 M&A 수요가 높은 상태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의 “기회가 오면 적극적으로 M&A를 추진하겠다”거나, 위성호 신한은행장의 “대기업 금융계열사 매물 인수에 적극나서겠다”는 발언은 모두 신한금융의 M&A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리은행 역시 지주사 전환을 위해 M&A에 적극적으로 나설 후보자다. 과점주주 매각을 통해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은 지주사 전환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민영화 과정에서 과거 자회사를 모두 매각한 만큼 보험·증권 등에 대한 M&A가 절실한 상황이다.
다만 신한금융과 우리은행 등 잠재매수자들은 아직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두 금융사 모두 거대 금융사인 만큼 시장에 영향이 미비한 중소형 규모의 매물에는 관심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또 업황이 부진한 보험사 보다는 자본시장에 비중을 두고 초대형투자은행 육성을 고려해 증권사 매물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조용병 회장이 롯데손보의 인수설을 공식적으로 부인한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업은 특성상 기술혁신 등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는 어렵고, M&A를 통해 성장동력을 마련해야 한다”며 “시장에 재벌 금융사 매물이 등장한다면 금융투자업을 중심으로 M&A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